1. 부산 시험장 가기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시험을 쳤습니다. 새벽 버스를 타고 부산에 내려갔기 때문에 시험까지 시간이 남아서 시험장 근처 식당에서 아침을 먹었습니다. 도착 해서 9시 30분부터 입실이 시작인줄 알고 아침도 사먹고 느긋하게 시험장으로 갔더니 9시 반까지 입실인 상황이어서 막판에 숨도 못쉬고 뛰었습니다. 당연한 얘기겠지만 시간 꼭 다시한번 확인하고 가는게 좋습니다. 시험은 10시부터 시작이었고, 10시 30분부터 중도 퇴실이 가능했습니다.
2. 시험 진행 과정
시험문제는 총 50문항 과목별로 1과목 부터 데이터 이해 객관식, 주관식, 2과목 데이터분석 기획 객관식, 주관식, 3과목 객관식, 주관식 순서로 문제가 배치되있었어요. OMR카드에 이름 쓰고 수험번호 쓰고 시험지에도 이름과 수험번호를 작성 후 시험이 시작되었습니다.
수험표는 꼭 뽑아가지 않아도 되고 답안지에 수험번호 적을 때 앞에 적힌 교탁 옆에 붙어진 수험번호 보고 체크 하면 됩니다. 따로 감독관이 수험표를 확인 하거나 하지는 않고 뽑아가도 수험번호 작성 할 때만 확인 후 시험전에 모두 가방에 넣게 되었습니다. 본인확인은 신분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시험은 방송에 맞춰서 진행이 되었습니다. 10시 30분 퇴실가능 시간이 되면 한분 두분 나가시는데 혹 문제를 다 못풀었더라도 맨탈 잡고 계속 진행하시면 됩니다. 생각보다 문제푸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거나 하지는 않았던것같아요.
저 같은 경우엔 문제풀고 한번 더 풀고 세번째는 직접 매겨보고(아는 문제랑 헷갈리는문제 문항 수 세서 점수 계산까지 해보고) 하고 네번째로 답안지 비교까지 해도 15분정도 남았어요. 그정도 되니 시험장엔 저를 제외한 딱 한분 남아계시더라구요. ㅋㅋㅋ 아무튼! 맨탈 흔들릴 필요없이 소신껏 푸시면 되구요. 전 네번정도 돌려봣는데.. 그쯤되니 시험문제도 다 외워졌어요 :-) 남들이 나간다고 조급해하실 필요가 전혀 없어요. 시간도 여유로운 편이었습니다.
이번엔 계산문제도 좀 나왔는데 계산기는 필요없었던게 문제 자체에 (분수로 나타내시오) 라고 적혀있더라구요.
계산 문제는 시험지 여백 이용해서 수기로 충분히 풀수있는 문제였습니다. 공식만 잘 암기해가면 될 것같아요.
저는 이 시험은 좀 단기로 진짜 딱 4일 공부한터라 공식도 마지막날 봣거든요. 딱 시험에 계산문제로 나와버려서 놀랐는데 계산문제는 시험 전체에서 공식이 별로 없기때문에 왠만하면 좀 이해하고 들어가시길 추천드려요. 원리만 알면 외우기도 쉬워서 겁먹을 필요가 없어서 그냥 주는 문제가 되거든요.
3. 답안 복원 참여
암튼 시험을 딱 취고 나오면 여기저기서 답안 복원을 시작합니다. 똑똑하신 분들 많아서 거의 100프로 답안이 복원되는 것 같고, 시험치고 나오면 거의 답 적은게 다 기억나실거에요. 저도 제가 찍은 답이 다 생각이 나서 답안 복원 확인해본 결과 합격했네요. 너무 단기로 공부해서 주관식 문제 못풀면 어떡하나 걱정도 많이 했는데 의외로 너무 잘 맞아서 좋았습니다.
4. 주관식 문제 공부 방법
제 경우엔 주관식 공부는 두 페이지 정도 노트를 따로 만들어서 정리했습니다. 노트는 영어단어장 정리하듯이 작성하였습니다. 보통 주관식 답안은 단어로 되어있으니 한쪽에 단어를 쭉 적고 옆에 연관 지문을 적어서 막판에 빠르게 볼 수 있게 작성했습니다. 약 2페이지 정도 정리해서 시험치기 직전에 여러차례 읽었습니다. 시험 시작된 후 주관식문제부터 먼저 풀면 기억에도 잘 남고 좋습니다.
5. 공부하며 느낀 점
객관식 공부는 민트 책으로 공부했습니다. 네 유명한 그 책이요. 각 단원별 기출문제를 분석하고 목차를 나름대로 노트에 마인드맵 그리듯이 분류하면서 공부했어요. 먼저 공부 시간부터 적어보겠습니다.
D-4 1과목 공부, 2시간
D-3, 2과목 공부, 3시간
D-2, 3과목 공부, 3시간
D-1, 3과목, 주관식문제, 하루종일 + 밤샘 공부
D-Day, 주관식 문제 + 시험
1과목
사실 D-4 공부 첫날에는 대충해도 될 줄 알았습니다. 왜냐하면 다른 블로그에서 '3일만에 합격!' 이런 글들을 읽었기 때문입니다. '아~ 3일만 해도 되는구나~~ 저정도면 마지막에 빡쎄게 보면 되겠지' 싶기도 했고, 실제로 1과목은 책 좀 몇번 읽다보면 기출마저 쉽게 느껴지기도했기 때문에 심리적 여유를 만끽하기에 충분했습니다.
2과목
그러나 2과목부터 문제에 부딛쳤습니다. 시험문제가 헷갈리더라구요. 공부할때는 기출 문제를 보면 나오는 문제가 반복적으로 나오는것 같아서 몇번 보면 외워지겠지 하고 대충 미뤄둿던것이 화근이었습니다. (절대 이렇게 하시면 안되요 시험 칠 때 이 과목이 제일 헷갈렸습니다. 각 과정과 디테일한 내용 꼭 매치시켜서 꼼꼼하게 외우시길 추천드립니다. 상당히 헷갈렸습니다.
3과목
3과목 공부 첫날에는 시험에 나올 확률이 높은 정형 데이터 마이닝과 통계의 회귀분석 위주로 공부했습니다. 이건 좋은 선택이었어요. 특히 저 두과목을 중점적으로 공부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시험 전날
마지막날 기출을 풀어보는데 발등에 불 떨어졌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접수비 5만원을 낭비할 수 있다. 그리고 '시외버스 왕복 비용' 및 '다음 시험까지 기다리는 약 3개월'을 생각해보니 무조건 붙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결국 밤을 새기로 결정하고 일분 일초를 쪼개서 진지하게 공부했습니다. 이해를 못하면 암기를 잘 못하는 제게는 절대 만만히 볼 시험은 아니었던것같아요. 결과적으로 합격점에 들었지만 좀 더 열심히 공부했더라면 문제를 훨씬 쉽게 풀지않았을까 라는 생각도 많이 드는 시험이었습니다.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시험을 준비하고 있으시다면, 혹은 준비할 계획이 있으시다면 조금이라도 빨리 시작해서 한번이라도 더 보고 용어를 익히고 공부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그럼 모두 화이팅!!
2023 자격시험 일정은 아래 표를 참조해주세요^^
과목 | 회차 | 접수기간 | 시험일 | 사전 점수발표 |
결과 발표 |
증빙서류 제출기간 |
|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
제36회 | - | 1.25~31 | 2.26(일) | 3.17 | 3.24 | - |
제37회 | - | 4.17~21 | 5.20(토) | 6.9 | 6.16 | - | |
제38회 | - | 7.17~21 | 8.19(토) | 9.8 | 9.15 | - | |
제39회 | - | 9.18~22 | 10.21(토) | 11.10 | 11.17 | ||
빅데이터 분석기사 | 제6회 | 필기 | 3.6~10 | 4.8(토) | 4.21 | 4.28 | 5.2~11 |
실기 | 5.22~26 | 6.24(토) | 7.7 | 7.14 | - | ||
제7회 | 필기 | 8.21~25 | 9.23(토) | 10.6 | 10.13 | 10.16~10.26 | |
실기 | 10.30~11.3 | 12.2(토) | 12.15 | 12.22 | - | ||
데이터분석 전문가
|
제28회 | 필기 | 1.25~31 | 2.26(일) | 3.17 | 3.24 | - |
실기 | 2.13~17 | 3.12(일) | 3.31 | 4.7 | 4.7~14 | ||
제29회 | 필기 | 4.17~21 | 5.20(토) | 6.9 | 6.16 | - | |
실기 | 5.2~9 | 6.3(토) | 6.23 | 6.30 | 6.30~7.7 | ||
제30회 | 필기 | 7.17~21 | 8.19(토) | 9.8 | 9.15 | - | |
실기 | 7.31~8.4 | 9.2(토) | 9.20 | 9.27 | 9.27~10.6 | ||
제31회 | 필기 | 9.18~22 | 10.21(토) | 11.10 | 11.17 | - | |
실기 | 10.2~10 | 11.4(토) | 11.24 | 12.1 | 12.1~8 |
참고로 교재는 데이터에듀 민트책으로 공부했고, 유튜브 EduAtoZ 선생님이 올려주신 노션 자료 활용해서 단권화 공부했습니다. 시간적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강의도 좋다고 하니 차근차근 들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데이터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분석에서 피해야 할 일반적인 실수 (0) | 2023.02.28 |
---|---|
비즈니스에 적합한 분석 도구 선택하는 방법 (0) | 2023.02.28 |
읽으면서 공부하는 3과목 데이터 통계분석 (0) | 2023.02.24 |
과목2 데이터 분석 기획 알아야 할 주요 개념 (0) | 2023.02.23 |
데이터(자료, Data)와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0) | 2023.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