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7가지 키워드로 읽는 '오늘의 이스라엘'

by 달-빛 2023. 4. 19.

익숙하지만 낯선 나라. ' 이스라엘 '

 

 저에게 이스라엘은 관심은 있지만 잘 알지 못하는 나라였습니다. 더 정확히는 탈무드와 유대인에 대해선 궁금증을 지녀왔지만 유대교의 전통과 문화와 같은 진짜 이스라엘에 대해서는 무지 상태였습니다.

 

 그런 저에게 이 책은 시오니즘, 이민, 유대국가, 군대, 창업정신, 미국과의 관계, 그리고 율법의 역할에 대한 7가지 키워드를 바탕으로 이스라엘의 역사와 문화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 약속의 땅 '

 

 이스라엘의 역사는 유대인들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은 유대인들의 고향인 땅으로, 고대부터 유대인들의 역사와 문화가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유대인들은 다양한 디아스포라(이민)와 분쟁, 학살 등의 고통을 겪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수용하며 다양한 지역에 흩어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19세기 말 유대인들의 이민 운동이 시작되면서, 유대인들은 약속의 땅을 향해 그들의 고향을 향해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948년 이스라엘이 선언되며 유대인들의 국가로 성장하게 됩니다.

 

 

 

' 용서도 없고 잊지도 않는다.'

 

 이스라엘은 작은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군사력에서는 강국들에 버금가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군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스라엘이 항상 자신의 안보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혁신적인 무기와 전략을 개발해왔기 때문이었습니다. 조금 놀랐던 부분은 군대문화에 있었습니다. 

 

계급장을 떼는 군대문화

실제로 이스라엘을 방문하는 외국인이 길거리에서 만나는 제복입은 병사들의 겉모습만 보면 엄정한 군기와 다소 거리가 있는 것처럼 느낄때가 많다.

일선 지휘관이 자신의 역량과 상황판단에 따라 알아서 조치하고, 만약 잘못되면 책임을 진다는 자세로 임한다. 또한 규모가 크든 작든 작전이 종료된 이후에는 각급 단위별로 판단과 실행과정이 적저했는지 여부를 검토해보고 앞으로 새로운 작전에 필요한 교훈을 도출하는 일종의 평가회의를 갖는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평소에도 계급에 상관없이 동등한 자격으로 열띤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가 이미 조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 오늘의 이스라엘 中

 

 이 책은 이스라엘에 대한 지식이 적은 사람들도 읽기 쉽게 많은 스토리를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잘 모르는 용어들도 내용을 읽어가다 보면 어느순간 아 그래서 이랬구나 하는 이해가 되었는데요. 평소 관심을 가져 왔던 나라를 책을 통해 역사와 문화를 알아가는 시간은 너무나 좋았던 것 같습니다. 

 

 7가지 키워드를 통해 현대의 이스라엘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는 책. 오늘의 이스라엘을 읽으며 이스라엘의 역사와 문화, 정치, 안보 등에 대한 폭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오늘 저녁에는 우리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 보아야 겠습니다.^^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